드롭 박스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드롭박스는 개인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일공유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더 쉽게 얘기해보자면 윈도우노트북에서 다른 윈도우노트북으로, 맥북에서 윈도우노트북으로, 윈도우노트북에서 휴대폰으로 등 드롭박스만 설치되어 있고 계정 연동만 되어있다면 기기와 관계없이 파일들을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는것이죠.
드롭 박스 다운로드 방법과 윈도우에서 탐색기 드라이브로 설치 하는 방법, 추가 용량 받는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롭 박스 다운로드
드롭박스는 유료 상품 종류가 많지만 약간의 제약을 감안하면 무료로 가입하고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 요금제는 2GB의 용량이 제공되고 총 3대의 기기에서만 연동해서 사용이 가능한 정도의 제약입니다.
저는 휴대폰, 맥북, 윈도우노트북 이렇게 3대에 연결해서 주로 문서공유만 하기 때문에 2GB는 충분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접속하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드롭박스 설치하기

위 링크에 접속해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를 끝내고 파일을 실행시켜줍니다.

실행이 완료되었다면 로그인해줍니다. 또는 새로 가입합니다.

말씀드렸듯이 저는 무료요금제인 베이직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요금제 업그레이드하라는 화면이 나왔는데 무시해도 됩니다.

TMI. 총 3대를 연동하다가 윈도우노트북을 포맷하고 다시 연결하는 중입니다. 그런데 이 노트북에서 드롭박스 연동이 끊어져있지 않아서 3대가 넘는다는 화면이 나온것입니다.
일부장치에서 로그아웃 해주면 됩니다.
설치 마무리
장치 선택을 마쳤다면 설치 계속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마무리 하면 됩니다.

동기화 방법 선택
파일을 어떤방식으로 동기화할지 선택하는 메뉴가 보입니다. 로컬/온라인 2가지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로컬은 탐색기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방식이고 온라인은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전 제 컴퓨터에서는 로컬 방식을 선호하고 외부장비에서 접속해야할 일이 생길때는 온라인 접속을 합니다.
그래서 파일을 로컬로 설정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아래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탐색기 왼쪽에 드롭박스라는 폴더? 드라이브?가 생겼고 동기화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드롭박스 아이콘에 초록색 체크표시가 뜨는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롭박스에 파일을 추가할때마다 파란색 화살표로 동기화 표시, 초록색 체크표시로 동기화 완료가 반복될 것입니다.
이제 연동해놓은 모든 기기에서 파일을 이동하고, 편집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드롭박스 활용법
맥과 윈도우처럼 다른 OS간에 파일 공유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많은데 용량이 크지 않은 문서들을 공유할때는 드롭박스를 가장 흔하고 편리하게 사용중입니다.
예를들어 한글파일(.hwp) 같은 경우엔 다운로드는 맥으로 해서 뷰어로는 볼 수 있지만 편집을 해야할 경우 드롭박스로 공유해서 윈도우환경에서 처리하곤하는데 굉장히 편리합니다.
그리고 이번 포스팅 같은 경우에도 윈도우노트북에서 화면을 캡처해서 드롭박스로 옮긴 뒤 맥북에서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으니 용량이 가벼운 이미지들도 이렇게 옮겨가면서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에 또 설명할 기회가 있겠지만 다른 드롭박스 사용자와 공유폴더를 활용하면 더 폭넓은 공유환경을 만들수도 있습니다.
500MB추가 용량 받기
기본베이직 요금제의 경우 2GB만 사용할 수 있지만 초대링크를 활용해서 가입하는 경우 서로 500MB씩 받을 수 있으니 처음 가입하시는 분들은 기왕이면 아래 링크를 통해서 가입해주시면 서로 이득입니다.
이렇게 드롭 박스 다운로드 방법과 함께 윈도우 로컬 설치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필요하신분들에게 좋은 정보였으면 좋겠습니다.